2023.03.14
미국이슈
1. 3월 CPI 발표
오늘은 금리인상이 가팔라지며 국제적 최대 증시 이벤트로 부각되는 미국 CPI 발표날이다.
우리나라 시간으로 오후 9시 30분에 발표 예정이며, 대표적인 예상 수치는 평균 6%이다.
6%보다 낮으면 호재, 높으면 현재 은행 도미노 등과 겹쳐서 증시 대재앙이 몰려올 수도... (살려주세요)
바이든 대통령이 좋을 것이라고 슬쩍 언질은 줬다는데 이게 벗어난 적은 거의 없다고 한다.
CPI가 높으면 뭐가 문제냐...
지금 파월을 필두로 한 연준이 금리인상을 계속 진행하는 이유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함인데, 이를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수치가 물가인상률이다.
물가인상률이 높으면 현재 인플레이션이 잡히지 않고 계속 진행중이라는 소리고, 이는 연준이 계속해서 금리인상을 진행해야 하는 이유가 된다.
그런데 지금 이렇게 금리인상을 진행해서 자산운용을 잘못한 은행들이 계속 터지고 있다. 그런데 그렇다고 금리인상을 중단하면 인플레이션은 잡히지 않고, 결국 대공황이 올지도 모른다. 근데 은행들이 터져도 대공황이 올 수 있단 말이지.
진짜 아 어쩌란 말이냐다.
즉 너와나 우리 모두가 행복해질 수 있는 건 CPI가 낮게 나오는 길 뿐이다.
그럼 연준도 시장 위험 없이 일단 금리인상을 중단할 수 있는 좋은 핑곗거리가 생기기 때문에...
하지만 길게 보면 금리인상을 진행하는 게 맞다. 안 그러면 문제를 그냥 미뤄두는 것뿐이다.
폭탄 투하 한시간 전.
2. 크레디트스위스(CS) 부도 위험
하나 잘 넘어갔다 싶으면 하나가 또 터지죠...
개인적인 생각으로 시중 은행들은 코인 관련 자산들은 취급하지 말아줬으면 하는 작은 소망이 있네...
작년 크레디트스위스 부도위험이 부각되다가 어느순간 슬그머니 사라졌나 싶었는데,
사라진 게 아니라 그냥 문제가 유예된 것뿐이었나 보다. 문제가 뭔지 한 번 보자보자보자.
1) 순손실 10조 이상 (항간에선 400조라는 카더라가 있다.)
2) 연간 감사보고서 중대 오류 발견 (아마 순손실과 관련된 것이지 않을까 싶기도)
3) 가상자산 비중 높음 (시그니처 은행도 가상자산 비중이 높았음)
총재가 그렇게 큰 문제는 없다고 얘기했다지만, CDS(신용부도스와프) 가격이 오르고 있다고 하네요...
네, 그 빅쇼트 영화에서 떼부자를 만들어준 그 신용부도스와프...
어제만 15% 이상 하락했는데... 안된다...
이번주는 이 꽉 깨물고 보수적으로 운용해 봅시다. (하면서 니가 내리면 내가 파냐 사지 하면서 미친듯이 사고 있는 1인 ^^)
'미국주식 > 미국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슈집중] IRA 인플레이션 감축법 - 트렌드 법안 혹은 중국 견제 (0) | 2023.04.07 |
---|---|
[이슈집중] FOMC 회의 주간 - 25bp 상승 or 동결, 파월의 선택은? (0) | 2023.03.22 |
[이슈집중] SVB 파산사태, CS 부도위험 - 인수를 할 것인가 말것인가 / 금리를 올릴 것인가 말 것인가 (0) | 2023.03.19 |
[이슈집중] 크레디트 스위스 (CS) 부도 위험 지속 - 사우디의 추가 투자 거절 (1) | 2023.03.15 |
[이슈집중] 제 2의 리먼사태? - 실버게이트, SVB, 시그니처뱅크, 퍼스트 리퍼블릭 연쇄 도산 위기 (0) | 2023.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