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주식/종목정리

[015760] 한국전력 (공기업 관련주, 에너지 관련주, 전기유틸리티 관련주, 전기차 관련주, 친환경 관련주) (4/16 기준)

진리88 2021. 4. 18. 12:53
728x90
반응형

4월 16일 기준

 

종가 23,950원

 

늘 나에게 수익을 안겨줬던 귀여운 한국전력... 한국전력을 픽했던 이유는 강원랜드랑 같다. 공기업 버프. 공기업이 설마 망하지는 않겠지 하는 그 믿음. 비록 박스권 욕심이 너무 강해서 21,000에 올매도 했었지만... 그리고 19,000원대가 오기를 다시 기다렸으나 그 날은 오지 않았다고 한다. 지금 다시 들어갈 생각은 무조건 있으므로 오늘의 종목은 한국전력으로 가 보도록 하겠다.

 

1) 차트

한국전력 차트 (4/16 기준)

3000일로 차트 보다가 너무 긴 것 같아서 일단 1000일로 줄여서 선 수정. 지금 난 22,670원을 기다리고 있고, 22,800원에 1차 매수에 들어갈 생각이다. 이게 3000일 차트로 보면 알 수 있지만 상승 하락이 장난이 아니다. 물론 공기업이니 상폐당할 걱정만 없을 뿐, 최고점에서 잡았다면 매우 고통스로운 시절을 보냈을 것이라 생각한다... 10년 동안의 최고점은 63,700원이었으므로 현재가는 1/3 토막이 났다고 보면 된다. 지금이 진짜 저점 중의 저점이라 생각해서 어디서 들어가면 좋을까 고심해보는 것이고... 만약 저기서 잡았다면 생각만 해도 아찔하다. 지금 작은 박스권은 22,000원대 후반에서 24,000원대 후반인 것 같다. 224일선은 대양봉이 나왔을때 일단 방향은 전환해 줬고, 448일 선도 상승으로 고개를 돌리려 시도하는 것 같다. 그래... 더 이상 내려갈 데가 없지... 22,000원대로 내려오면 좋겠는데 안 내려오면 23,000원 대에서 1차 매수도 고려중.

 

2) 특징

 

- 공기업 관련주 : 한국전력은 정식명칭이 한국전력공사로, 공기업이다. 나라에서 운영하는 에너지 기업. 그래서 망할 일도 없지만 정부 정책에 따라서 매출이나 회사 운영 등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아이러니하게도 리스크이다. 강원랜드 같은 경우야 이러니 저러니 해도 관광, 도박 관련 이미지라 단순하게 보면 되는데, 한국전력은 온 국민이 사용하는 전기를 판매하는 기업이므로 이래저래 복잡한 부분이 많다고 보면 된다.

 

- 전기 유틸리티 / 전기차 관련주 : 최근 전기차가 핫이슈로 떠올랐다. 유럽과 미국을 선두로 전세계가 탄소중립 정책을 선언하고 정책들을 내놓으면서 내연기관 차들의 종말이 가까워지게 되었다. 그리고 전기차 인프라, 구매 지원 등의 정책을 공격적으로 펼치고 있는데, 한국전력은 전기를 다루는 회사이므로 관련주라고 볼 수 있다. 결국 전기차 충전 관련 인프라를 깔고 거기에 전기를 공급하는 건 한국전력을 거치지 않고는 힘들기 때문이다. 한창 관련 섹터가 관심을 받았을 때 크게 상승했다가 다시 내려왔는데, 언제든지 주목을 다시 받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친환경 관련주 : 정부가 친환경을 표방하고 추진하는 이상, 공기업들도 그 정책을 따르고 적극적으로 관련 대책을 내놔야 한다. 한국전력은 태양열, 풍력 관련 사업도 진행하고 있으며 (전기 생산 및 판매, 구입), 정부의 지원 정책도 꾸준히 나오고 있다. 관련 연구 개발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 리스크 : 정부의 전기세 하향조정 정책이 가장 큰 리스크 중 하나이다. 여름, 겨울에 서민들의 전기세 고충을 덜어주겠다고 요금 조정을 많이 하는데, 이 요금제 개편이 한국전력 적자의 가장 큰 원인이다. 작년은 워낙 유가가 낮아서 일시적으로 흑자로 돌아서긴 했지만 올해 유가를 보니 그것도 기대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산업용 전기 요금을 대대적으로 개편하면 일정 부분 이런 리스크는 해소될 것 같은데, 죽자고 일반 요금만 가지고 이리저리 굴려보니 답이 안나오지...

 

- 배당 : 1,216원

 

- 시가총액 : 15조 3,750억원

 

- 지분 : 한국산업은행 32.90%, 대한민국정부(기획재정부) 18.20%, KDB생명보험 0.03%, 국민연금공단 6.94%

와 나 대한민국정부가 지분 가지고 있는 건 또 처음 본다. 신기.

 

3) 의견

 

위에 언급했듯, 22,000원 후반대에 1차 매수 들어가는 것이 제일 베스트라고 생각하지만, 안내려온다면 23,000원 대에서 매수를 들어가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 다만 반드시 분할매수라는 계획을 세우고. 만원대는 다시 오기 힘들 것 같고 지금도 저점이라 생각하므로 매우 느리긴 하겠지만 기다리면 배신하지는 않을 종목이라고 생각한다.

 

4) 리포트

 

하나금융투자 유재선 연구원 (2021년 4월 13일)

- 6월 연료비 인상분 반영 여부가 관건

- 1Q21 영업이익 7,073억 컨센서스 부합 전망

-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35,000원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