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14일 기준
14,300원 종가
작년 백신 + 식품 택배 물량의 폭발적인 증가로 드라이아이스 수급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기 시작했다. 아쉬운 점은, 나는 업무상 드라이아이스 납품처랑 거래하는 일이 많은데, 그 분이 흘리듯이 계속 말한 시그널을 눈치채고 주식에 대입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끊임없이 말한 것이, 1. 가격을 올릴 것이다. 2. 수급이 모자라서 물량을 납품하지 못할지도 모른다. 3. 내년 3, 4월쯤에는 전체 공장들이 정비(?)에 들어가기 때문에 적어도 상반기까지는 이런 현상이 계속될 것이다. 이 세 가지였다. 이 내용을 듣기 시작한 게 아마 작년 8, 9월 정도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아래 차트로 보면, 딱 그 근처부터 움직이기 시작했던 것이 보이는데, 역시 주식은 모든 걸 선반영한다... 지금이었다면 그래도 캐치할 수 있는 확률이 더 올라갔을 텐데 아쉬울 뿐이다.
1) 차트
이미 최저점에서 최고점까지 5배가 넘게 상승을 보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보통 세력은 400~500%를 먹으면 나간다고 하는데, 태경케미컬은 재료가 아직 사라진 것이 아닌 것 같아서 계속 관종에 두고 보고는 있다. 위 서론에서 언급한 내가 놓친 시그널이 너무 아쉬워서 미련 때문에 보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지금 돌아가는 상황이 심상치 않고, 거래량이 한번은 더 터지지 않을까? 하는 기대 때문에 보게 되는 것 같다. 오늘부터 대충이라도 지지 저항 선을 긋고 체크해 보기로 해서 위에 3개의 줄을 그어놨다. 즉, 저 선을 지지 / 저항이라고 생각하고 매수선을 그어놓겠다는 소리다. 불안한 건, 마지막 선인 9,971원은 1만원을 깨는 선이기 때문에 다시 올라가는 것이 과연 쉬울까 하는 점이다. 다만 작년 실적이 전년도 대비 2배 넘게 올랐고, 올해도 비슷한 상황이 예상되리란 점에서 아마 저 선들 사이를 횡보하지 않을까 싶다. (얘기해 두지만 본인도 차트 완전 초보이며 공부중이다.)
2) 특징
- 드라이아이스 관련주 : 동사는 화학 회사로, 탄산가스를 주력 사업으로 삼고 있다. 탄산가스로는 드라이아이스를 만들지. 이 드라이아이스가 지금 모든 산업 분야에서 엄청나게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식품 보존 등 전세계에서 수급이 몰리면서 원료 수급에도 차질을 빚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아마 코로나가 잦아드는 그 때까지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는 현상은 계속되지 않을까 싶다.
- 백신 (콜드체인) 관련주 : 모더나, 화이자의 백신이 초저온 보관을 필요로 하여 온도 유지를 위해 드라이아이스의 존재감이 급부상하게 되었다. 특히 화이자의 경우, -60도의 어마어마한 저온을 필요로 하므로 대량의 드라이아이스가 필요하다. 실온 보관이 가능한 아스트라제네카는 최근 혈전 등 부작용이 계속 부각되고 있어서 아무래도 저 2개사의 백신이 선호될 것 같다. 그런데, 생각해 보면, 모더나와 화이자는 기업이고, 아스트라제네카는 대학 연구팀이다. 일부러 기업들이 언론플레이를 더 하는 것 같기도 하고, 뭐 그렇다.
- 코로나 관련주 : 백신, 식품 배달은 모두 현 코로나19 사태와 연관되어 있다. 어떻게 보면 큰 의미에서 코로나 수혜주라고 말할 수 있다. 백신 개발 전에는 백신까지 드라이아이스가 필요하리라고는 생각도 하지 못했지만...
- 언택트 관련주 : 거리두기, 락다운 등으로 사람들이 밖에 나가서 활동을 하지 못하니 웬만하면 집에서 식생활을 해결해야 하는 상황이 계속되었다. 배달음식을 시키기도 하지만 밀키트 산업 등 식품 산업이 크게 발전하며 배송을 위한 드라이아이스 수요가 급증하였다.
- 배당 : 200원 (마침 오늘 태경케미컬 배당 통지서를 받음. 지금은 매도완료이지만... 원래 주주에게 후한 회사라고 한다.)
- 시가총액 : 1,659억
- 지분율 : 태경비케이 40.01%, 태경산업 16.35%, 김해련 2.40%, 자사주 2.29% (꽤 괜찮은 지분율을 보이고 있다.)
3) 의견
위에도 언급했듯, 나는 아직 이 재료가 끝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또한 마켓컬리의 상장이 남아있는데, 이 마켓컬리가 식품과 밀키트 산업을 하는 기업이란 것을 생각하면, 쿠팡 때처럼 관련하여 수급을 받을 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래도 다시 매수한다면 나는 13,000원대는 가야지 관심을 가지고 1차 매수를 고민해 볼 것 같다. 12,000원 대로 가면은 더없이 좋고. 다만 1만원 선이 깨지는 것에 대해 매우 조심해야 할 것 같다.
4) 리포트
없음
* 본 포스팅은 종목 추천이 아닙니다. 본인이 관심을 가지고 있던 종목들을 한번 더 복기하고 공부하는 목적입니다.